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비정규직 싱글맘의 변동비용 한도제 예산 짜는 법
    싱글맘의 금융 재테크 2025. 7. 21. 07:53

    비정규직 싱글맘에게 ‘예산 통제’가 중요한 이유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싱글맘은 월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루 단기 일용직, 프리랜서 근무, 파트타임 근무로 인해 어떤 달은 180만 원, 어떤 달은 90만 원 수준으로 들어오는 돈이 들쭉날쭉하죠.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위험한 예산 구조는 “벌리는 만큼 쓰자”는 사고입니다.
    이럴 땐 돈이 들어오면 쓰고, 안 들어오면 카드 돌려 막기나 빚에 의존하게 됩니다.

    그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바로 ‘변동비용 한도제 예산법’입니다.

    변동비용 한도제란 무엇인가?

    개념 정리

    변동비란 고정비(월세, 통신비 등) 외에 소비자가 조절 가능한 모든 비용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식비, 외식비, 자녀교육비, 문화생활비, 의료비, 잡화비 등이 여기에 해당하죠.

    변동비 한도제란 매달 총소득과 상관없이 각 항목별로 최대 지출 가능 금액을 ‘고정’해 과소비를 원천적으로 막는 방법입니다.

    즉, ‘얼마를 벌었느냐’보다 ‘얼마까지만 쓸 수 있는가’를 먼저 정하는 방식입니다.

    한도제 예산표 예시: 월 소득 130만 원 기준

    항목 한도 금액 설명
    식비 20만 원 주간 식단표 작성 + 장보기 주 1회 제한
    자녀 교육비 5만 원 학습지 1개, 도서 구입 등 제한
    외식/문화생활비 3만 원 한 달 2회 외식 + 집 근처 도서관 중심
    의료비/약값 2만 원 비상 상황 외 병원 방문 제한
    쇼핑/잡화 1만 원 불필요한 쇼핑 자제, 생필품 정해진 한도 내 구매
    비상금 적립 5만 원 예비용 저축통장 자동이체 설정

    📌 한 달 지출 합계: 36만 원 (고정비 70만 원 수준일 경우, 전체 예산 106만 원 → 잉여 자금 발생 가능

    싱글맘의 변동비용 예산 짜는 법

     

    실전 적용 팁 - 싱글맘을 위한 한도제 활용법

    ‘식비는 계획이 80%’ - 식단표로 한도 내 장보기

    주 1회만 장보기 → 불필요한 소비 방지

    3일은 반찬 재활용, 2일은 냉동식 활용

    아이와 함께 식단 짜기 → 음식 낭비 줄이고 교육 효과도 있음

    예시: 5일 기준 식단표 (밥, 김치, 달걀, 된장국, 채소볶음 등)

    ‘현금 봉투법’ 또는 선불카드 방식

    항목별로 ‘봉투’ 혹은 ‘계좌’를 나눠둡니다.

    예: 문화생활비는 선불카드에 3만 원만 충전 → 더 이상 사용 불가

    잔액이 남으면 다음 달로 이월하거나 비상금 적립

    카드 사용 금지, 소비 습관 교정

    무심코 긁는 카드는 한도제 예산 파괴자

    체크카드 or 현금 위주 사용

    1일 1회만 소비 점검하기: 매일 밤 소비 리뷰하기

    실제 사례 - 한 달 평균 120만 원 소득 싱글맘 A 씨의 예산 구조

    “예전엔 버는 대로 썼어요. 어떤 달엔 부족하고 어떤 달엔 남는데, 결국 통장 잔고는 늘 0원이었죠.
    한도제 예산법을 3개월 실천한 뒤, 저축이 가능해졌고 무엇보다 불안이 줄었어요.”

    A 씨의 지출 구조

    항목 예산 한도 실제 평균 지출절약 포인트
    식비 20만 원 18만 원 냉동식 활용 + 1주 1회 장보기
    교육비 5만 원 3만 원 중고책 활용 + 구청 강좌 활용
    문화생활 3만 원 2.5만 원 공공도서관, 무료 공연 이용
    의료비 2만 원 1.2만 원 한방의원 중심 비보험 진료
    쇼핑비 1만 원 8천 원 리필 샴푸, 비누 등 할인 구매 활용
    비상저축 5만 원 5만 원 주간 자동이체 설정

    총지출: 약 37만 원 / 절감된 금액으로 3개월간 15만 원 이상 저축 성공

    결론을 맺으면서 - 싱글맘의 ‘변동비용 한도제 예산’은 삶의 진짜 전환점입니다

    비정규직 싱글맘이 ‘변동비용 한도제’를 실행하면 단순한 절약이 아닌 삶의 안정과 계획을 되찾는 진정한 전환점이 됩니다. 아래는 그 구체적 성과입니다.

    지출 초과 차단 + 의미 있는 나머지 자금 확보

    한 달 130만 원 소득 기준, 변동비용 36만 원 한도로 설정 → 실제 지출 30만 원 +

    적어도 6만 원 이상 예비 적립 가능

    수입 급변해도 지출 한도 덕에 마음의 여유 확보

    심리적 안정과 소비 통제력 강화

    ‘돈이 들어오면 쓰는’ 삶에서 벗어나고 ‘한도 내에서 계획한 소비’를 실천하며 소비 불안감이 줄고 자존감과 생활 통제력 향상

    미래 설계를 위한 기반 확보

    매달 적립된 비상자금은 자녀 교육비, 의료·비상 상황 대비 등으로 활용하고 장기적으로는 학자금, 자격증 준비, 재취업비용으로 확대 가능

    가족의 미래 플랫폼을 만들 수 있음

    교육+실천 병행으로 자녀와 성장

    현금 봉투법, 선불카드 방식 등을 활용하면 자녀가 금전 계획과 소비 기준을 이해하고 가정 경제교육 효과까지 누릴 수 있음

    무너져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구조

    소득 급감이나 돌발 지출로 예산이 삐걱대도 ‘한도제’가 이미 구조화되어 있어 즉각적으로 대응하면서 회복 가능

    오늘부터 싱글맘의 한도제 예산 실행법

    1) 항목 3개만 정하세요 - 식비, 교육비, 문화비

    2) 각 항목 월 한도 설정 (예: 식비 20만 원, 교육비 5만 원, 문화비 3만 원)

    3) 현금 봉투 또는 선불카드에 충전

    4) 소비는 그 안에서만! 하루에 1회 사용 점검하기

    5) 월말 리뷰 - 남은 금액은 비상자금 또는 다음 달 이월

     

Designed by Tistory.